피트/자료 2018. 10. 24. 00:24

세포소기관

-단백질 가공과정(feat. 골지체, 소포체)

리보솜에서 번역된 단백질은 신호서열을 가지고 있다. SRP라는 단백질이 신호서열에 붙어서 그 단백질이 소포체의 SRP수용체에 결합하면 단백질을 소포체에 붙여준다.

소포체에 결합하면 소포체는 이제 신호서열이 필요 없으니 절단해주고,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고 아스파라긴의 N기에 당을 붙여준다.

이 단백질이 골지체로 이동하면 골지체에서는 당을 없애거나 붙여주는 당 가지치기를 해주고 세린, 트레오닌 잔기에 O-연결 당화를 해준다.

만노오스 6인산이 표지된 단백질은 1차 리소좀으로 간다.

 

-미세소관

세포의 중심부 핵 측면에 중심체라는 동그란게 있는데 거기서 미세소관이 성게의 가시처럼 뻗어나온다.

중심체 안에는 중심립이 있는데 그건 중심체와 완전히 다른 거고 속이 비어있는 9+0 구조 두개가 90도 직각을 이루고 있다.

중심립은 S~G2기까지 2개로 복제가 되고, 분열기에 분리가 되어서 성상체를 형성하고 방추사를 뻗어서 염색체를 분리시킨다.

미세소관은 눈사람 모양의 튜불린 구조가 감겨있는 것인데, +말단에는 베타 튜불린, -말단에는 알파튜불린이 있다. 둘다 GTP가 들어있다.

미세소관은 세포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거나, 섬모, 편모를 구성한다.

섬모는 물질을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편모보다 짧고 수가 많다.

편모는 세포를 운동하게 해주는 기관이고 디네인으로 구성되어있다. 디네인은 미세소관의 +말단에서 -말단으로 이동을 하고 키네신은 -에서 +말단으로 ATP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편모에 디네인만 운동을 하면 가닥이 분리되기 때문에 연결단백질이 두 가닥 사이를 잡아줘서 채찍질 운동을 하며 앞으로 운동하게 해준다.

편모의 기저부에는 중심립 구조가 있다. 식물은 중심체가 없고 중심에 액포가 있어서 중심립도 없기 때문에 편모도 없다. 

원핵생물은 섬모는 없고 편모만 있다. 원핵생물의 편모는 수소이온 기울기로 회전운동을 함.

 

-중간섬유(데스모좀과 헤미 데스모좀에서 뻗어져 나오는 섬유, 세포 파괴 막는 역할)

핵- 라민: 핵막을 고정시켜줌. 라면 먹고 싶다.

상피세포- 케라틴

신경세포- 신경섬유

 

-미세섬유(세포막 근처의 지지 역할, 미세융모 구조)

구형의 글로불린 소단위체가 f필라멘트를 형성한다. 이것 또한 르샤틀리에 원리로 평형을 이룸.

 

-표지단백질

핵막- 라민

퍼옥시좀- 카탈라아제:지방산 베타 산화하고, 그때 생기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해줌.

활면소포체- 시토크롬P450

 

글리옥시좀: 식물 세포의 발생 초기에 있는 것으로 광합성 하기 시작하면 퍼옥시좀으로 전환됨.

 

-세포벽 구성 성분

진정세균: 펩티도글리칸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뮤람산)

(그람음성균: 얇은 세포벽과 겉에 외막이 있다. 페니실린으로 파괴되지 않고 암피실린을 써야 함.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했을 때 알콜로 씻으면 씻겨서 붉은 색만 염색됨.

그람양성균: 두꺼운 세포벽이 있고 페니실린으로 파괴됨.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고 녹말로 결정화하면 결정이 씻기지 않고 남아있어서 보라색으로 보임.)

식물: 펙틴,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중엽-가장 바깥쪽 막으로, 펙틴으로 구성-끈적끈적 세포벽끼리 결합하게 하려고

1차벽-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로 구성되어있고 신장이 잘되어서 자라나는 세포들에서 잘 발달됨.

2차벽-성장을 멈춘 세포들에서 특수하게 나타남, 리그닌, 큐틴, 코르크 침착되어 형성)

원형질연락사로 큰 물질들 이동 가능, 소포체가 원형질 연락사로 들어간것-데스모튜불 이라고 함.

균류: 키틴 (N-아세틸 글루코사민)

고세균: 슈도펩티도글리칸 (N- 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탈로사미뉴론산)

 

-세포막 구성 성분

진정세균,진핵: 글리세롤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결합

고세균: 에테르 결합

 

-(+)염색약

메틸렌블루, 아세트산카민, 헤마톡실린

 

-리소좀: 엑소좀이랑 오래된 세포 소기관을 분해한다.

유전자 결함으로 효소가 없어서 분해를 못하면 저장병결림.

ex)테이삭스병: 헥소사미니데이즈a 결핍으로 갱글리오사이드가 축적되어 뇌세포가 파괴되어 매우 어린 나이에 사망

 

피트/플래너 2018. 6. 30. 20:54

인생 계획

뚜렷한 목표 같은 것이 없다.

잘 해낼 자신도 없다.

뭘 어떻게 해야 좋을지, 어떤 것이 후회 없는 선택인지 잘 모르겠다.

사실 뭘 선택하든 내가 하기에 달려있기는 하다.

삶과 죽음 사이에 수많은 선택이 있다.

내가 피곤하고 귀찮다고 피하기는 어렵다.

우울에서 오는 감정들을 다스리는데 가장 좋은 것은, 우울하기 이전에 했던 행위들을 반복하지 않음으로서 악순환을 끊는 것이다.

내 앞에 놓여진 일들이 하나 같이 어렵고 부담스럽게 느껴지면, 남들과 얄팍한 비교를 해보는 것으로 그 불안감을 달랠 수 있다.

근데 그렇게 열심히 삶으로써 내가 얻는 것은 대체 뭐냐고?

이 시험에 합격하면 얻는 것은 조금 더 안정적인 마음과, 높아진 자존감, 주변에서 알아주는 명예.

다 좋은 거긴 하네. 나한테 필요한 것들이기도 하고.

하지만 내 최종 목표는 그게 아니라 그것들은 그저 중간의 휴식처에 불과한 것들인데, 내 큰 목표는 정말 무엇일까.

 

이런것들 따위의 고민이 내 무의식에 자리잡아서 가끔 공부를 하기 싫을 때마다 내게 찾아와서 슬럼프를 안겨준다.

노력 따윈 소용 없을거라, 아니, 난 아무리 노력해도 노력조차 할 수 없을거라고 패배감을 안겨준다.

그럴 때마다 내가 기억해야 할 것은, 지금 나를 진심으로 온 마음을 다해서 응원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그 말을 들은 이후로 쭉- 나는 혼자가 아니었고, 이렇게 괴로운 순간마저도 그를 생각하며 버텨낼 수 있는 것이다.

더 높이 올라가서 부끄럽지 않은 내가 되었을 때 당당하게 말하고 싶다.

너 때문에 내가 여기까지 왔고, 당신이 내 롤모델이었다고. 

'피트 > 플래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수강계획  (0) 2018.02.21
계획  (0) 2018.02.10
피트/플래너 2018. 2. 21. 00:05

강의 수강계획

개념: 4월 30일까지 끝냄

생물-통합 총144 /하루2(주말3)

화학-통합 총81 /하루1(주말2)

유기-통합 총72 /하루1(주말2)

물리-통합 총80 /하루1(주말2)

기간-68일

 

'피트 > 플래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계획  (0) 2018.06.30
계획  (0) 2018.02.10
피트/플래너 2018. 2. 10. 18:59

계획

8월 19일경 피트가 있고 토익은 9~10월에 볼테니까,

만약 내가 자기조절이 잘 되어서 올해에 첫시험을 보게 된다면, 첫 시험을 제대로 쳤다고 느끼기 위해서는 학기중에 공부를 해야 하니까 토익을 9월까지 미룰것이고,

만약 자기조절이 안되어 첫시험은 포기하게 된다면 학업에 집중하며 토익을 틈틈히 공부해야겠다.

자기조절이 잘 되는지 안되는지의 기준은 남은 한달간 하루도 안빠지고 계획을 달성하는가.

정말 불확실하고 힘들고 멘탈적으로 깨지는 일도 참 많을 것 같은데 이런 상황을 버텨낸다면 앞으로 6달정도는 나 자신을 믿어볼 수 있을 것 같다.

감정에 흔들리지 않고 나만의 기준을 가지고서 휴식과 학업을 조절해야 한다.

2주에 한번 일요일 외에는 쉬지 않는 것으로 하고 둔감하게 공부에만 집중하자.

'피트 > 플래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계획  (0) 2018.06.30
강의 수강계획  (0) 2018.02.21